CentOS 5.대 네임서버 "간단" 설치
yum install -y bind caching-nameserver
yum 설치후 아래의 두파일이 /etc 에 생성된다.
-rw-r----- 1 root named 1230 Sep 4 10:37
named.caching-nameserver.conf
-rw-r----- 1 root named 955 Sep 4 10:37
named.rfc1912.zones
named.caching-nameserver.conf를 named.conf로 변경
mv
named.caching-nameserver.conf named.conf
named.conf 를 열어 아래의 형식으로 수정
listen-on port 53 { any; };
allow-query { any; };
allow-query-cache
{ any; };
atch-clients { any; };
match-destinations { any; };
# directory : 네임서버 데이터베이스 파일들의 위치 설정, 네임서버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다면
/var/named
디렉토리가 생성되며, domain.zone 과 같은 형식의 zone파일이 위치하게됨
# dump-file : 네임서버의 정보가 갱신 될 때마다 저장되는 dump 파일의 위치 지정
# staisics-file : 네임서버의 통계 파일의 위치 지정
# include "/etc/named.rfc1912.zones"; : zone 영역이 위치한 파일의 위치 지정
named.rfc1912.zones 를 열어 zone 영역 설정
zone "domain" IN {
type (hint| master | slave);
file
"zone파일명";
allow-update { none; };
};
# type : 캐쉬 전용 서버는 hint, 1차 네임서버의 경우 master, 2차 네임서버의 경우 slave
#
allow-update : 1차 네임서버의 정보가 Dynamic Update 기능에 의해 2차 네임서버의 zone 데이터들이
변경되도록
할 때 사용되며, 2차 네임서버를 운영 할경우, 아래와같이 설정한다.
allow-update {192.168.0.1};
2차 네임서버가 없을 경우엔,
allow-update { none; };
같이 설정
출처 : http://blog.blueweb.co.kr/181
댓글을 달아 주세요